728x90
반응형
도치란 문장 구성의 순서가 바뀌는 것을 말하는데 주로 어떤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 쓴다.
부사 Here 가 문장의 맨 앞에 온 도치 구문에서는 뒤따라오는 명사에 따라 어순이 달라진다.
「Here + 동사 + 일반명사」
「Here + 대명사 + 동사」
Here he comes! 여기 그가 오잖아!
장소의 부사 here가 문장 앞에 오면 주어와 동사가 도치되지만 주어로 대명사(he)가 쓰이면 도치되지 않고, 'Here+대명사(he)+동사(comes)'의 어순이 된다.
Here are some of the most interesting ones. 여기 가장 흥미로운 것들 중 몇 가지가 있습니다.
here(여기에)는 부사로서 문장의 맨 앞에 위치할 때는, 주어와 동사의 자리가 도치되어 'Here+동사+일반명사(주어)'의 순으로 쓰며 '여기에 ~하다/~이다'로 해석된다. 하지만 주어로 대명사가 올 때에는 'Here+대명사(주어)+동사'의 순서로 쓴다.
Look! Here comes Wendy! 저기 봐! 웬디가 온다!
'Here is[are] ~.'는 '여기에 ~이 있다.'라는 뜻으로 원래 문장은 'Thor comes here.'이지만 부사 here가 문장의 앞으로 와서 주어와 동사가 도치되어 「부사(Here)+동사(comes)+주어(Thor)」의 순서가 되었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