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
전체 글 629

[화성학]음정계산에서 장,단,완전,증 x도의 이름을 쓰는 이유

C major 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. 위 그림은 음정의 이름이 붙는 표입니다. 이미 접해보셨을 겁니다. 그럼 이러한 음정이름을 만든 이유는 무엇일까요? ◎ 초보자들의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.: "도"와 "미" 사이는 반음이 4개가 있습니다. 그리고 도부터 반음간격으로 건반을 처서 나가면 5번 처야 미에 도착하죠. 그런데 왜 "반음4개" 혹은 "5번째음" 이라고 부르지 않고 장3도, 혹은 감4도라는 용어를 쓰는 걸까요? ◎ 다음은 요약한 답변입니다. 화성학에서 화음의 기본은 3도씩 음을 쌓아 나가는 것입니다. 모든 음은 근음(첫음)을 기준으로 3도씩 쌓아 나가야 화음을 이루며 조화롭고 아름답게 들립니다. 소리라는 과학에서 인간이 발견해 낸 자연의 이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이 3도라는 것은 도-미가 ..

실용음악 2024.01.31

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> 형용사적용법의 보어역할 (be to용법)

형용사적 용법의 보어역할 (be to용법) 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 > 형용사적 용법의 보어역할 (be to용법) to부정사가 보어 역할을 하는 것을「be to 용법」이라고 한다. 보어란 보충설명해 주는 말을 뜻하며 존재( ~이다, ~이 있다) 의 의미를 가진다. I am a boy, 나는 소년이다. There is a book. 책이 한 권 있다. 마찬가지로「 be to ⓡ 」형태의 부정사가 위 예문에 쓰인 be 동사 처럼 존재의 의미를 담게 되는데 이것을 「be to 용법」또는「부정사의 서술적 용법 」 이라고 부른다. (※ 참고) 서술적 용법과 대비되는 말로써 「한정적 용법」이 있다. 한정적 용법이란 꾸며주는 말(혹은 수식하는 말)이 있다. 쉬운 예로 형용사가 명사를 꾸며주는 것이 한정적 용법의 예이다..

영문법/부정사 2024.01.01

have + 목적어 + 목적격보어(=과거분사), + feat.연습문제

have + 목적어 + 목적보어(=과거분사) have 동사가 5형식 구문에 쓰일 경우 사역동사가 된다. (사역: ~시키다, ~하게하다, ~하여진) have 는 '~하게 시키다' 을 가지고 뒤에 목적어(O) + 목적격보어(O.C)에 해당하는 말이 와서 have 동사의 의미를 완성시켜준다. 이렇듯 「목적어(O) + 목적격보어(O.C)」 의 형태를 갖춘 문장을 제 5 형식문 이라고 한다. 참고로 5 형식문에서 목적어 자리에는 명사류가 오며, 목적격 보어 자리에는 명사류나 형용사류가 온다. 이 페이지에서 다룰 내용은 목적보어 자리에 과거분사(p.p.)를 쓰는 경우이다. 먼저 과거분사가 무엇인가 부터 알아보자. 과거분사는 동사에서 파생되어 나온 형용사류에 해당하는 단어이다. 즉 동사의 뜻을 담고는 있으나 문법적으..

시제의 일치 (Sequence of Tense)

주절과 종속절이 있는 문장에서 주절의 동사와 종속절의 동사는 그 시제를 일치시켜 시간 관계가 논리적으로 맞는 것을 말한다. 이것을 시제의 일치라고 한다. 즉, 주절동사의 시제에 따라서 종속절 동사의 시제가 변화하는 것을 시제의 일치라고 한다 I found that he had already left. 나는 그가 이미 떠났다는 것을 알았다. 그가 떠난 것이 과거에 내가 그 사실을 안 것보다 먼저 일어난 일이므로 시간순서대로 시제를 표현하고 있다. ▣ 시제 일치의 원칙 주절의 시제 종속절의 시제 현재 / 현재완료 / 미래 제한 없음 과거 과거, 과거완료 주절의 시제가 변할 때 종속절의 시제도 함께 변하지만 종속절에 있는 동사의 변화는 의미상의 변화가 아니라 형식상의 변화에 불과하다. 주절의 시제가 현재나 현..

조동사 May

조동사 May May/Might > 조동사 May may는 조동사의 용법밖에 없다. 일반동사로는 쓰이지 않는다. ◎ 허가를 나타낸다. 「~해도 좋다」 허가를 나타낼 때의 부정은 may not 또는 must not 을 쓴다. May I go home? 내가 집에 가도 되나요? - Yes, you may. 그래, 가도 좋다. - No, you must (or may) not. 안돼, 너는 가서는 안 된다. must not은 강한금지를 나타내며, may not은 가벼운 거절을 나타낸다. ♣ may가 허락의 뜻일 경우, 다른 조동사와 같이 쓸 때는 may 대신 be allowed to 또는 be permitted to 를 사용한다. You will allowed to come tomorrow. 너는 내일 와도 ..

영문법/조동사 2023.12.16

However + [형용사/부사] + 주어+동사

However + [형용사/부사] + 주어 + 동사 조건/양보의 접속사 > However + [형용사/부사] + 주어 + 동사 However + [형용사/부사] + 주어 + 동사 ~ = No matter how + [형용사/부사] + 주어 + 동사 ◎ 의미 : ~ (아무리 ~라도) 복합 관계 부사 when, where, how 등에 ever 를 붙인 whenever, wherever, however 등을 복합 관계 대명사라고 하는데, 이것들은 선행사를 포함하고 있으며 부사절을 이끈다. however 과 같은 복합 관계 부사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으며 앞 뒤 전후의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진다. ◎ whenever : ① 시간→ -할 때는 언제나② 양보 → 언제- 할지라도 ◎ wherever ..

영문법/접속사 2023.12.16

절(節)의 종류 [그래머딕영문법]

2개 이상의 단어가 모여 의미의 단위를 이루며 「주어+동사(술어)」 의 형태를 포함하고 있는 단어의 집합(어군)을 절(Clause)이라고 한다. 그러나 하나의 문장 전체를 절이라고 하지는 않는다. 절은 접속사를 포함한 「접속사+주어+동사~」의 형태로 문장속에 존재하며 이는 문장의 주절과 구분하고 그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서이다. I believe that he is honest. 나는 그가 정직하다고 믿는다. 위 문장은 「주어+동사」의 형태가 두 개 존재한다. 「접속사(that) + 주어 + 동사」의 형태를 가지는 that you are honest 이 절에 해당한다. 문장 전체의 「주어+동사」에 해당하는 I believe 를 주절이라고 하고 뒤에 이어지는 that you are honest 를 종속절..

[표] 의문사절의 종류와 역할 (feat. 연습문제)

구분 의문사의 역할 의문부사 의문사절 의문대명사절 접속사 + 명사 역할 what(무엇) which(어느 것) who(누가) whom(누구를) 의문형용사절 접속사 + 형용사 역할 what(무슨) which(어느) whose(누구의) 의문부사절 접속사 + 부사역할 when(언제) where(어디서) why(왜) how(어떻게, 얼마나) 연습문제 1. 다음 두 문장의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시오. ________ do you go to school? ________ much money do you have in your pocket? ① When ② What ③ How ④ Where 정답 : (마우스로 긁어 보세요) How 설명 : ☞질문답변 ☞자세히보기 2. 밑줄 친 단어가 의문대명사인지 관계..

주절과 종속절

주절과 종속절 절 > 주절과 종속절 주절은 주인의 자격을 가진 절이며, 종속절은 종의 자격을 가진 절이란 의미이다. 주절은 문장의 처음에 위치하며 문장전체를 이끈다. 종속절은 보통 주절 다음에 오는 주어+동사가 이끄는 어구로 앞에 반드시 접속사가 붙는다. 등위접속사 이외의 접속사로 이어져 있는 절을 주절과 종속절의 관계에 있는 절이라고 한다. 한 문장 내에 「주어+동사」의 형태가 두 개 이상 있을 경우, 주절은 반드시 한 개가 있으며 나머지는 모두 종속절이다. 이 종속절은 주절과 접속사를 통해 연결되는데 이때 쓰이는 접속사를 종속접속사라고 한다. 이러한 종속절은 문법적으로 명사, 형용사, 부사의 성격을 띄게 되는데, 문장내에서 어떤 구성 요소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그 성격이 결정된다. 다음은 종속절을 이..

절의 역할을 못하는 품사

절 > 절의 역할을 못하는 품사 8품사중 대명사, 동사, 전치사, 접속사, 감탄사는 절의 역할을 하지 않는다. 「주어+동사」를 포함하지 않기 어구들이기 때문이다.그래서 "대명사", "동사절" 같은 말 자체가 없다. 오로지 명사절, 형용사절, 부사절이 있을 뿐이다. [원문전체보기] https://www.grammardic.co.kr https://www.grammardic.co.kr www.grammardic.co.kr

명사절의 역할

명사절의 역할 절 > 명사절의 역할 명사절은 일반명사처럼 문장에서 주어, 보어, 목적어, 동격 역할을 한다. 명사나 명사구의 역할과 같다. 다만 명사절에는 구에는 없는 "주어+동사" 의 형태를 하고 있을 뿐이다. 1. 주어 역할 That he is honest is true. 그가 정직하다는 것은 사실이다. 위 문장은 주어가 너무 길기 때문에「진주어/가주어 형식」으로 바꿔 쓸 수 있다. → It is true that he is honest. it(가주어), that이하(진주어) What I want is that book. 내가 원하는 것은 저 책이다. What I want 까지가 명사절로 주어역할을 하고 있다. (관계대명사 what) 2. 보어 역할 The fact is that he killed h..

형용사절의 역할

절 > 형용사절의 역할 형용사절은 하나의 절이 문장내에서 형용사의 역할처럼 명사수식과 보어 역할을 하는 것이다. 관계대명사절, 관계부사절이 형용사절에 해당한다. ○ 관계대명사절의 예 I like this pencil that my father bought me yesterday. 나는 어제 나의 아버지가 사주신 이 연필을 좋아한다. "that my father bought me yesterday" 는 관계대명사절로 앞에 있는 선행사인 명사 pencil 을 꾸며준다. Heaven helps those who help themselves.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. "who help themselves" 는 관계대명사절로 앞에 있는 선행사인 명사 those 를 꾸며준다. ○ 관계부사절의 예 This ..

부사절의 역할

절 > 부사절의 역할 부사절은 하나의 절이 문장 내에서 부사의 역할을 하는 어구의 집합이다. 절이란 주어와 동사를 포함하는 어절로써 다음과 같은 꼴을 한다. 「(부사절 유도)접속사+주어+동사~」 부사구는 주어와 동사를 포함하지 않지만 부사절은 주어와 동사를 포함하고 있다. 구와 절의 차이는 그 구문안에 주어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. 부사절는 부사의 성격을 가지므로 문장내에서 부사의 본래 역할인 동사수식, 형용사수식, 다른 부사 수식의 역할을 한다. 한 단어로 쓰이는 부사는 문장의 어느 위치에서도 비교적 자유롭게 쓰일 수 있다. 그러나 부사구나 부사절은 2단어 이상의 어군이므로 문장내에서 그 의미를 명확히 구분 하기 위해 주로 문장의 앞이나 뒤에 위치하게 됩니다. 부사절나 부사절의 가장 큰..

단문이란? (a short sentence)

절 > 단문이란? (a short sentence) 단문 (短文, a short sentence) 하나의 문장에 「주어+술어」가 하나만 들어 있는 문장을 말한다. Birds sing. 새들이 노래한다. 주어(Birds), 동사(sing) Tom and Mary attended the meeting. 탐과 메리는 회의에 참가했다. 주어(Tom and Mary), 동사(attended) I read and write English. 나는 영어를 읽고 쓴다. 주어(I), 동사(read and write) [원문전체보기]

중문이란? (a compound sentence)

절 > 중문이란? (a compound sentence) 중문 (重文, Compound Sentence) 「주어+술어」로 된 두개의 절이 「등위접속사」로 연결 되어 있을 때 「중문」이라고 한다. 『 S + V + and/but/for/or/so + S + V 』 You are a boy and I am a girl. 당신은 소년이고 나는 소녀이다. Summer has come, but it is not very hot. 여름이 왔다. 그러나 그것은 너무 덥지 않다. [원문전체보기]

복문이란? Complex Sentence

절 > 복문이란? Complex Sentence 복문 (複文, complex sentence) 「주절+종속절」로 되어 있으며 「등위접속사」 이외의 접속사로 연결되어 있는 문을 「복문」이라고 한다. 「주절 + 종속절 / 종속절, + 주절」 I know that he is wealthy. 나는 그가 유복하다는 것을 안다. I know ~ . : 주절 that he is wealthy : 종속절 He works hard that he may succeed. 그는 성공하기 위하여 열심히 일한다. He works ~ . : 주절 that he may succeed : 종속절 Every Morning, I read the news paper and my wife washes the dishes. 등위 접속사 and..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