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 반응형 전체 글631 have + 목적어 + 목적격보어(=과거분사), + feat.연습문제 have + 목적어 + 목적보어(=과거분사) have 동사가 5형식 구문에 쓰일 경우 사역동사가 된다. (사역: ~시키다, ~하게하다, ~하여진) have 는 '~하게 시키다' 을 가지고 뒤에 목적어(O) + 목적격보어(O.C)에 해당하는 말이 와서 have 동사의 의미를 완성시켜준다. 이렇듯 「목적어(O) + 목적격보어(O.C)」 의 형태를 갖춘 문장을 제 5 형식문 이라고 한다. 참고로 5 형식문에서 목적어 자리에는 명사류가 오며, 목적격 보어 자리에는 명사류나 형용사류가 온다. 이 페이지에서 다룰 내용은 목적보어 자리에 과거분사(p.p.)를 쓰는 경우이다. 먼저 과거분사가 무엇인가 부터 알아보자. 과거분사는 동사에서 파생되어 나온 형용사류에 해당하는 단어이다. 즉 동사의 뜻을 담고는 있으나 문법적으.. 2023. 12. 24. 시제의 일치 (Sequence of Tense) 주절과 종속절이 있는 문장에서 주절의 동사와 종속절의 동사는 그 시제를 일치시켜 시간 관계가 논리적으로 맞는 것을 말한다. 이것을 시제의 일치라고 한다. 즉, 주절동사의 시제에 따라서 종속절 동사의 시제가 변화하는 것을 시제의 일치라고 한다 I found that he had already left. 나는 그가 이미 떠났다는 것을 알았다. 그가 떠난 것이 과거에 내가 그 사실을 안 것보다 먼저 일어난 일이므로 시간순서대로 시제를 표현하고 있다. ▣ 시제 일치의 원칙 주절의 시제 종속절의 시제 현재 / 현재완료 / 미래 제한 없음 과거 과거, 과거완료 주절의 시제가 변할 때 종속절의 시제도 함께 변하지만 종속절에 있는 동사의 변화는 의미상의 변화가 아니라 형식상의 변화에 불과하다. 주절의 시제가 현재나 현.. 2023. 12. 23. 조동사 May 조동사 May May/Might > 조동사 May may는 조동사의 용법밖에 없다. 일반동사로는 쓰이지 않는다. ◎ 허가를 나타낸다. 「~해도 좋다」 허가를 나타낼 때의 부정은 may not 또는 must not 을 쓴다. May I go home? 내가 집에 가도 되나요? - Yes, you may. 그래, 가도 좋다. - No, you must (or may) not. 안돼, 너는 가서는 안 된다. must not은 강한금지를 나타내며, may not은 가벼운 거절을 나타낸다. ♣ may가 허락의 뜻일 경우, 다른 조동사와 같이 쓸 때는 may 대신 be allowed to 또는 be permitted to 를 사용한다. You will allowed to come tomorrow. 너는 내일 와도 .. 2023. 12. 16. However + [형용사/부사] + 주어+동사 However + [형용사/부사] + 주어 + 동사 조건/양보의 접속사 > However + [형용사/부사] + 주어 + 동사 However + [형용사/부사] + 주어 + 동사 ~ = No matter how + [형용사/부사] + 주어 + 동사 ◎ 의미 : ~ (아무리 ~라도) 복합 관계 부사 when, where, how 등에 ever 를 붙인 whenever, wherever, however 등을 복합 관계 대명사라고 하는데, 이것들은 선행사를 포함하고 있으며 부사절을 이끈다. however 과 같은 복합 관계 부사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으며 앞 뒤 전후의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진다. ◎ whenever : ① 시간→ -할 때는 언제나② 양보 → 언제- 할지라도 ◎ wherever .. 2023. 12. 16. 이전 1 2 3 4 5 6 ··· 158 다음 728x90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