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회화

You can say that again. '동감이야'

by youngpits 2023. 11. 17.
728x90
반응형

You can say that again. '동감이야'

 

상대방의 말이나 의견에 전적으로 동의할 때 쓰는 표현으로 직역하면 '너는 그 말을 다시 할 수 있어'라는 뜻이다. 동의 하지 않을 때는 I don't agree. 라고 표현한다.

상대방의 말이나 의견에 반대할 때 I disagree.의 표현으로 반대 의견을 표현할 수 있으며, '나는 동의하지 않아.'라는 뜻이다.

 

▣ 그외에 동의 표현들

You're telling me.

That's precisely my point.

I'm with you (on that).

I'm in (favor of that).

That makes two of us.

I agree with you.

I assent to your opinion.

You read my mind.

I think so, too. 나도 그렇게 생각해

 

▣ 반대의 표현들

I disagree. 나는 동의하지 않아.

I don't agree (with you). 너의 의견에 동의하지 않아.

I don't think so.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.

I'm afraid I disagree. 내 의견은 다른 것 같습니다.

I totally disagree. 절대 동의하지 않아요.

I'd say the exact opposite. 그것의 반대라고 말하고 싶습니다.

 

 

1. 

G: Look at this mess!

B: Let's clean it up. We should keep our classroom clean.

G: You can say that again.

소녀: 이 엉망인 것을 봐!

소년: 우리 청소하자. 우리는 우리 교실을 깨끗하게 유지해야 해.

소녀: 동감이야.

 

2. 

G: Hurry up! We're going to be late.

B: I think we should have longer lunch breaks.

G: Well, I don't agree.

소녀: 서둘러! 우리 늦겠어.

소년: 나는 점심시간이 더 길어야 한다고 생각해.

소녀: 글쎄, 난 동의하지 않아.

 

3. 

B: He's wearing his slippers, isn't he?

G: Yes, he is.

B: We shouldn't wear slippers in the school garden.

G: I agree.

소년: 그는 슬리퍼를 신고 있어, 그렇지 않니?

소녀: 응, 그래.

소년: 우리는 학교 정원에서 슬리퍼를 신어서는 안 돼.

소녀: 나도 동의해.

2021년,능률(양현권),8학년,2과 

 

A: I think the most boring day of the week is Monday.

B: You can say that again

A: 난 가장 지루한 요일은 월요일이라고 생각해.

B: 전적으로 동의해.

2021년,천재(이재영),9학년,1과, 

 

A: I think reading history comic books is helpful. 

B: I agree. / I disagree. 

A: 나는 역사 만화책을 읽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. 

B: 나도 동의해. / 나는 동의하지 않아.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