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영문법/일치와 화법

상관접속사의 수일치(근접성의 원리)

by youngpits 2019. 9. 8.
728x90
반응형

영어의 동사는 가까운 주어에 수를 맞추는 경향이 있다.(접근성의 원리)
다음의 상관 접속사들은 이 원리에 의해 B에 그 수를 맞춘다.

○ A or B: A 또는 B
either A or B: A든 B든 둘 중 하나(양자 택일)
neither A nor B: A도 B도 ~아니다(양자 부정)
not A but B: A가 아니라 B가
not only A but also B (=B as well as A): A뿐만 아니라 B도

Either you or he has to stay at home. 너와 그 사람 중에서 누가 집에 있어야 한다.
Either he or you have to go there. 너와 그이 중에서 한 사람은 거기에 가지 않으면 안 된다.
Neither you nor I am rich. 너도 부유하지 않고 나도 부유하지 않다.
Not only you but also he is right.
= He as well as you is right. 너뿐 아니라 그도 옳다.



자료출처: 그래머딕 www.GrammarDic.co.kr
대한민국 대표 영어자료 사이트
- 허가받은 개인 및 업체 미디어 외에 무단복제를 금합니다. -










반응형

'영문법 > 일치와 화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시제의 일치 (Sequence of Tense)  (2) 2023.12.23
일치와 화법 [종합문제]  (0) 2019.09.08
주어와 동사의 일치 [전체]  (0) 2019.09.08
주어(A) and 주어(B)  (0) 2019.09.08
시간, 조건 부사절의 시제일치  (0) 2019.09.0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