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728x90
반응형

전체 글631

장래희망에 관한 대화/표현 장래희망에 관한 대화/표현 ●너는 미래에 뭐가 되고 싶니? - What do you want to be in the future? - What would you like to be in the future? - What do you want to do in the future? ● 나는 ~가 되고 싶다. - I want to be a doctor. 2023. 11. 17.
I'm afraid so[not] / I hope so[not] I'm afraid so[not] / I hope so[not] ※ I'm afraid so / I'm afraid not 와 I hope so / I hope not ◎ 기분이 내키지 않는 일 중에서 「그럴 것 같으면」⇒「I'm afraid so.」 「그럴 것 같지 않으면」⇒「I'm afraid not.」 「긍정을 희망하면」⇒「I hope so.」 「부정을 희망하면」⇒「I hope not.」 A: It will rain tomorrow. 내일 비가 오겠는데요. B: I'm afraid so. 안됐지만 그럴 것 같아요. B: I hope not. 비가 안왔으면 좋겠어요. A: Will it rain tomorrow? 내일 비가 올까요? B: I'm afraid not. 유감스럽게도 안올 것 같아요. B:.. 2023. 11. 17.
대화 > 대화 허락 요청하기 Do you mind ~? 대화 > 대화 허락 요청하기 Do you mind ~? ◎ 요청하기 어떤 일을 하기 전에 상대방에게 허락을 요청할 때 Do you mind ~?의 표현을 사용할 수 있으며 “~해도 될까요?, ~해줄래요?”라는 의미이다. 이 때 mind는 “꺼리다”라는 의미이기 때문에 Yes.라고 답변하면 “꺼려한다.” 즉, 허락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. 상대방에게 괜찮다고 허락할 때는 Not at all. / Of course not. / Certainly not. / No problem. / Sure. / Go ahead. 등을 사용한다. A: Hellen, do you mind being quiet? B: No, I don't. / Sorry but I can't. A: 조용히 좀 해 줄래? B: 알았어. / 미안하.. 2023. 11. 17.
You can say that again. '동감이야' You can say that again. '동감이야' 상대방의 말이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할 때 쓰는 표현으로 직역하면 '너는 그 말을 다시 할 수 있어'라는 뜻이다. 동의 하지 않을 때는 I don't agree. 라고 표현한다. 상대방의 말이나 의견에 반대할 때 I disagree.의 표현으로 반대 의견을 표현할 수 있으며, '나는 동의하지 않아.'라는 뜻이다. ▣ 그외에 동의 표현들 You're telling me. That's precisely my point. I'm with you (on that). I'm in (favor of that). That makes two of us. I agree with you. I assent to your opinion. You read my mind. .. 2023. 11. 17.
728x90
반응형